“휴대전화를 원격으로 조작해서 돈을 보내는 것도 옛날 방식입니다. 피해자가 휴대전화로 뭘 하는지 감시하면서 사기범을 믿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드는 게 요즘 수법입니다.” <br /> <br /> 지난달 19일 서울 송파구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 서울청사에서 만난 이동근 KISA 침해대응단장은 이렇게 말했다. 최근 보이스피싱범들이 범죄에 활용하는 이른바 ‘가로채기 앱’을 시연하면서다. “금융기관에서 ‘저금리로 대출해주겠다’며 추가로 앱을 설치하라고 하는 경우는 100% 사기라고 봐야 한다”는 게 이 단장의 설명이다. <br /> <br /> ━<br /> 앱 다운받자 은행에 거는 전화가 사기범에게 <br /> 보이스피싱범들의 사기 수법이 고도화하면서 가로채기 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. 중앙일보는 이날 악성 사이트 차단 업무를 담당하는 KISA의 협조로 실제 보이스피싱범들이 사용하는 악성 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지켜봤다. <br /> <br /> 가로채기 앱을 통한 보이스피싱은 주로 사기범이 피해자에게 문자 메시지로 “저금리 대출 상품이 있으니 대출을 받으려면 이 앱을 다운받으세요”라며 웹사이트 주소를 보내면서 시작된다. 사기범이 쳐놓은 ‘덫’이다. 주소를 누르는 순간 실제 은행 사이트와 유사하게 만든 ‘가짜 대출 사이트’가 나온다. 경계심이 한층 풀어진 피해자는 앱을 다운 받는다. 그러면 주소록, 통화기록, 위치 등 모든 정보를 사기범이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된다. <br /> <br /> 앱을 다운받은 피해자가 사기를 의심해 실제 은행으로 전화를 건다면 피해를 막을 수 있을까. 이미 늦었다고 보면 된다. 앱에 포함된 악성코드가 피해자의 휴대전화에 입력되면서 은행이나 금융당국에 거는 전화를 사기범이 가로챌 수 있기 때문이다. KISA 관계자는 “악성 앱에 미리 저장된 금융기관의 번호가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31605?cloc=dailymotion</a>